퇴사 후 건강검진, 어떻게 받을까? 국민건강검진 신청부터 병원 찾는 법까지
1. 퇴사 후 건강검진은 어떻게 받을까?
직장 건강검진은 회사에서 알아서 진행해주지만, 퇴사하고 나면 개인이 직접 건강검진을 신청하고 예약해야 합니다.
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만 40세 이상이면 2년에 한 번씩 무료 검진을 제공합니다.
2. 국민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방법
- 방법 1: 집으로 우편 안내문이 옵니다 (생일 전후 기준으로).
- 방법 2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방법 3: 건강iN 앱 설치 후 로그인 → 건강검진 항목 확인
3. 건강검진 예약 방법
- 건강검진기관 찾기 페이지에 접속
- 주소 또는 지역 입력 → 검진 가능 항목 선택 → 병원 리스트 확인
- 원하는 병원에 직접 전화해서 예약
4. 검진 당일 준비물은?
-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- 공복 상태 유지 (최소 8시간 금식)
- 우편 안내문이 있다면 가져가면 더 좋음
5. 검진 항목은 어떻게 될까?
기본 검진 항목: 혈압, 혈액검사, 소변검사, 간 기능, 신장 기능, 고지혈증 등
추가 항목: 암 검진 (자궁경부암, 대장암 등)은 해당 나이와 대상자에 따라 달라집니다.
6. 건강검진 꿀팁
- 평일 오전 일찍 예약하는 게 가장 쾌적합니다
- 검진 후 결과는 1~2주 후 우편 또는 앱으로 확인 가능
- 추가 검사 비용은 병원에 따라 일부 유료일 수 있으니 미리 문의하세요
7. 마무리하며
퇴사 후에도 건강은 스스로 챙겨야 합니다. 국민건강검진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복지이니 꼭 이용하세요!